중이염이란?
사람의 귀는 구조적으로 외이, 중이, 내이로 구분합니다. 중이는 고막부터 달팽이관(와우)의 직전까지의 공간을 말합니다. 중이염이란 바로 이 중이에 생긴 염증입니다. 중이염은 크게 급성중이염, 만성중이염, 삼출성 중이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급성 중이염은 중이 속의 급성 염증에 의해 열이 나고 심한 통증 등의 증상과 귀가 충혈되고 고막이 팽창된 모습을 나타냅니다. 주로 고막 안쪽의 공간에 세균이 침입해 염증을 일으키고 고름이 생기게 된 것입니다. 치료는 우선 약물요법과 함께 휴식, 안정이 필요합니다.
만성중이염은 급성 중이염을 앓고 난 후 뚫어진 고막이 아물지 않고 더욱 진행되어 생기기도 하나, 그보다 많은 원인은 급성중이염에서 이행한 삼출성 중이염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아 생깁니다.
삼출성 중이염을 오래 앓았다던가 제대로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 고막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감기에 걸려 귀 안에 다시 염증이 생기거나 귀에 충격을 받게 되면 고막이 뚫어지게 되어 만성중이염으로 이행됩니다. 이렇게 되면 염증이 있는 중이의 점막에서 생긴 농(고름)이 뚫어진 고막을 통해 바깥으로 나옵니다. 이것이 환자들이 흔히 이야기하는 '귀에서 물이 나온다'는 증상이고, 의학적으로는 이루라고 합니다.
또한 이 중이염이 진행되면 염증이 중이와 연결되어 있는 귀 뒤쪽의 공기로 차있는 공간인 유양돌기(귀 뒤에 만져지는 불룩한 뼈)에까지 퍼져 지속적으로 이루를 만들어 내고, 이소골(고막의 움직임을 내이로 전달)을 파괴시켜 청력을 떨어뜨립니다.
대부분 고막이 뚫어진 것만을 중이염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만성중이염은 유양돌기에까지 염증이 퍼져 있는 것이 보통입니다. 만성중이염의 수술 목적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염증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그 다음으로 중요한 목적이 청력의 개선이라고 하겠습니다.
이 두가지 중요한 목적을 같이 달성시키는 것이 이상적이겠지만 실제로는 염증의 상태에 따라 2단계의 수술을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염증이 너무 심한 경우에는 일단 염증이 있는 뼈와 조직을 제거한 후 중이가 깨끗해지면 6개월 내지 1년 후 청력 개선을 위한 2단계 수술을 시행합니다.
첫 수술에서 염증을 제거하면서 고막을 만들어 주지만, 고막의 재생술만으로는 청력이 많이 좋아지지 않습니다. 청력개선에 더 중요한 것은 이소골의 재건이며 바로 제2단계 수술에서 이것을 시도하는 것입니다.
|
'일반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에 좋은 식품..... (0) | 2009.12.14 |
---|---|
사과가 건강에 좋은 5가지 이유 (0) | 2009.12.11 |
※끼임재해 안전대책(위험유형별) (0) | 2009.12.07 |
◆고지혈증이란? (0) | 2009.12.04 |
[비타민C가 가장 많은 과일은 무엇일까요?] (0) | 2009.12.03 |